흙집 거주 8년차가 말하는 흙집의 장단점 오늘날 흙집에 산다는 건 어떤 걸까? 이론보다 훨씬 와 닿는 게 바로 경험담이자 생생한 후기일 터, 실제 주위에 흙집을 짓고 사는 분들을 수소문했다. 그런데 마침 가깝고도 (물리적으로는)먼 곳에서 벌써 8년째 흙집에서 살고 계신 분이 있었다. 바로 제주환경운동연합 오영덕 공동의장이다. 그에게 흙집에 관해 궁금한 점에 대해 답을 청했다. 흙집을 짓기 전에는 어떤 주거 형태에서 사셨나요? 제주도 중산간 목장지대 작은 돌집(12평 단독주택)에 살고 있었습니다. 흙집을 알고 짓게 된 계기는? 우연한 기회에 강원도 시골에 갔다가 구들방에 머무른 적이 있었습니다. 아궁이에 직접 불을 지피니 굴뚝에서 나온 연기가 주변에 가득 찼어요. 그런데 그 연기냄새가 순간적으로 저를 수십 년 전 어린 시절의 구들방으로 데려갔어요.. 더보기 흙집의 종류와 장단점 가장 값싼 건축 자재로서 시멘트 사용이 시작된 이래 우리를 둘러싼 환경은 순식간에 잿빛이 됐다. 그러나 시멘트는 그 생산에 많은 양의 에너지가 사용되고 수명도 짧다. 또한, 각종 폐기물을 사용하여 시멘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금속 문제의 불안함 그리고 시멘트 건축물을 꾸미기 위한 내장재의 새집증후군 등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집에 대한 우리의 걱정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그래서 다시, 사람들이 흙으로 눈을 돌렸다. 흙은 인체에 해가 없을뿐더러 철거 시에도 그대로 자연으로 돌아가기에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다. 혹자는 흙집이 견고하지 못해 위험하지 않으냐고 물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시멘트의 역사는 고작 200년이지만 흙집의 역사는 수천 년에 달한다는 점을 상기해 본다면 기인지우일 뿐이다. 어떤 .. 더보기 21.78제곱미터(6.5평)의 미니 아파트도 있다 아파트하면 으레 큰 집이 생각나거나 적어도 여럿이서 생활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으로 인식되지만, 아파트도 1인 가구나 2인 가구를 위해 제작된 작은 크기가 있다. 소형아파트, 미니아파트 따위로 부를 수 있으려나. 이미 핵가족을 넘어 이제 핵분열 가족 시대라고 부를 만큼 가구당 식구 수가 감소하고 있고, 게다가 부동산 시장의 거품이 꺼지면서 오늘날은 건축 추세도 큰 평수의 아파트보다는 작지만 공간 구성과 수납 구성을 내실있게 한 아파트가 인기라고 한다. 30평 같은 24평, 24평 같은 20평 등으로 불리는 아파트가 바로 그것들이다. 이런 이유로 아파트가 다시 작아지고 있다. 특히 SH공사나, LH공사 등 국가적 차원에서 건설하는 아파트의 경우 공간구성을 떠나 정말로 작은 평수의 아파트가 옛부터 있었는데,.. 더보기 셰어하우스의 탄생, 같이 사실래요? 개인적으로 집이나 주거 형태에 관심이 많다. 내 집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고, 10년간 가족을 떠나 떠돌이 생활을 많이 한 탓도 있다. 정착하지 못 하고 이리저리 옮겨 다니다 보니 인생이 부평초였다. 그 와중에 발견한 내 집을 갖는 가장 쉬운 방법이 바로 스몰하우스(지난 포스팅 참조)였다. 하지만 땅 한 평 갖기 힘든 도시민으로서는 불가능한 방법인지도 모르겠다. 이번에 살펴볼 집은 그런 흐름의 연장선에 있다. 규모를 줄이는 대신 주방이나 거실 등 공용 공간을 함께 나누어 쓰는 이른바 ‘셰어하우스(Share house)’다. 주거불안 민달팽이족 주거불안에 시달리는 20, 30대 청년들, 전·월세의 압박에 맘껏 휴식을 취할 편안한 주거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며 주로 고시원, 하숙, 반지하방, 옥탑방 등을 오가는 .. 더보기 작은 집을 권하다 일전에 고향 친구를 만났다. 아파트를 샀단다. 배가 아프다. 그런데 이야기하다 보니 가격이 장난이 아닌 게 ‘억’ 소리가 몇 번이나 난다. 자세히 보니 녀석의 표정도 밝지만은 않다. 열심히 일해서 대출금을 갚아야 한단다. 다큐영화 하나가 오버랩 된다. 2013년 10월 EBS국제다큐영화제를 통해 소개된 『작은 집에 산다는 것』. 영화 속 청년은 큰 집을 샀던 부모님이 대출금을 갚기 위해 밤낮으로 일하는 것을 보며 자랐다. 그는 묻는다. “잘 들어오지도 않는 집을 왜 삽니까?” 더보기 이전 1 다음